[Kotlin] for 사용 법 : 반복문 for 문 사용법 정리

이번엔 for 사용법에 대해서 공부해봅니다!

 

학습&포스팅 겸 다시 자료를 정리하다보니 새삼 깨달은 사실이 있는데요,

제가 코딩할 때 무의식적으로 편한 방법만 쓰려고 한다는 것 입니다.

그러다 보니 제가 잘 쓰지 않는 방식으로 나오면 for 사용법을 매번 검색하거나

한번 멈춰 생각해보기도 하고... 안좋은 습관이란게 참 무섭네요. 😂


1. 기본적인 for 문: 리스트 반복해서 출력하기:

val list = listOf("apple", "banana", "cherry")

for (item in list) {
    println(item)
}

 

 

2. 인덱스와 함께 반복하기: 배열의 값과 인덱스를 함께 출력하는 방법:

배열, 리스트의 특정 값과 함께 해당 값의 인덱스를 찾고자 할때 유용한 방법입니다.

'indices' 혹은 'withIndex()'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val fruits = arrayOf("apple", "banana", "cherry")

for (index in fruits.indices) {
    println("Fruit at index $index is ${fruits[index]}")
}

// 또는 withIndex()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for ((index, value) in fruits.withIndex()) {
    println("Fruit at index $index is $value")
}

 

 

3. 숫자 범위를 사용한 반복:

for 반복문 사용시, 특정 횟수 만큼 반복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방법입니다.

숫자 n 번째 까지 반복하는법, 마지막 값은 제외하고 반복하는 법, 숫자 거꾸로 반복하는 법,

'step' 조건을 추가하여 증가 값 부여하는 방법

// 1부터 5까지 반복
for (i in 1..5) {
    println(i)
}

// 1부터 4까지 반복 (5는 포함되지 않음)
for (i in 1 until 5) {
    println(i)
}

// 5부터 1까지 거꾸로 반복
for (i in 5 downTo 1) {
    println(i)
}

// 1부터 10까지 2씩 증가하면서 반복
for (i in 1..10 step 2) {
    println(i)
}

 

 

4. 람다식과 함게 사용한 방법:

'forEach' 함수를 사용하여 람다식과 함께 반복문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
컬렉션의 모든 요소에 대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val numbers = listOf(1, 2, 3, 4, 5)

numbers.forEach { number ->
    println(number)
}

// 인덱스와 함께 사용하기
numbers.forEachIndexed { index, number ->
    println("Number at index $index is $number")
}

 

 

5. 맵 항목의 반복문:

val ages = mapOf("Alice" to 28, "Bob" to 31, "Carol" to 22)

// forEach를 사용한 반복
ages.forEach { (name, age) ->
    println("$name is $age years old")
}

// for 문과 구조 분해를 사용한 반복
for ((name, age) in ages) {
    println("$name is $age years old")
}